IT
크로미움 엣지를 설치했다.
크로미움 엣지를 설치했다.
2020.01.162020년 1월 15일(한국시간 기준 1월 16일)부터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브라우저가 크롬 기반 오픈소스 브라우저인 크로미움 엣지로 일괄 업데이트된다. 이는 자동(강제) 업데이트로, 각 윈도우 별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기 전에 크로미움 엣지를 미리 다운받고 싶으신 분은 https://www.microsoft.com/en-us/edge 에 들어가셔서 Download 버튼을 누르시면 되겠다. 반대로 현재의 엣지가 좋거나 엣지 브라우저 자체를 안쓰시는 등의 이유로 자동 설치를 막고 싶으신 분 께서는 https://msedgeblockertoolkit.blob.core.windows.net/blockertoolkit/MicrosoftEdgeChromiumBlockerToolkit.e..
어!? 제 글이 다음 메인에 올라갔어요!! :D
어!? 제 글이 다음 메인에 올라갔어요!! :D
2020.01.14나흘만에 다시 메인에 올라갔네요!! PC+ 모바일 모두 올라왔습니다. 이번에 올라간 글은 Тошкент - 아미르 티무르 광장 (Amir Timur Square) + α 입니다. 2020년 여행글 첫 메인인데,정말 예상치 못한 메인이라 놀랍습니다. 저 글을 처음 발행한 게 2018년 8월 9일이니이제 나온 지 1년 반 정도 됐는데, 지금이라도 조금 더 많은 분들에게 알려져서 정말 기쁩니다! ㅎㅎ 뭔가 차트 역주행한 기분도 들고 그러네요 :D 저 글 뿐만 아니라 제 우즈벡 여행기많이많이 읽어주시고, 여행기에 공감&댓글 많이 남겨주세요!! 독후감 뿐만 아니라 여행기도 앞으로 열심히 쓰겠습니다!! 지금도 사진 정리 열심히 하고 있답니다 ㅋㅋㅋㅋ...
앱에서도 공감버튼이 생겼다.
앱에서도 공감버튼이 생겼다.
2020.01.13앱을 따로 업데이트 한 것도 아닌데 공감버튼이 생겼다. 앱 리뉴얼되고 잠깐 보였다가 이내 사라졌었는데 이제 다시 보이네. 앞으로 공감버튼 누르러 브라우저 안 써도 되겠다. 내심 번거로웠는데 잘 됐음..
공감버튼이 살아났다.
공감버튼이 살아났다.
2020.01.12그저께 공감 버튼이 사라졌다는 글을 올렸다. 프라치노 님께서도 이미 확인하셔서 패치를 배포한다고 하셨고바로 다음날인 어제 오전 임시 패치가 배포되었다. 처음엔 패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공감 버튼이 살아났으나몇 시간 지나지 않아 공감 버튼이 다시 사라졌다.다시 문제상황을 알렸고, 2차 패치에 대한 답변을 받았다. 그리고 오늘 오전, 2차 패치가 배포되었다.오후에 일어나서 패치를 설치했는데,현재까진 문제없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다. 고생 많으셨습니다.부디 지금 이 상태가 계속 유지되길... + 페이지 링크 : https://fraccinospace.tistory.com/entry/reaction-patch
....많이 놀라셨죠?
....많이 놀라셨죠?
2020.01.11일전에 말씀드린 대로(얼마나 보셨을진 모르겠지만..) uzbek 여행기를 시간 순서대로 재배열했습니다.동시에 포스팅 목차도 직접 만들어서 삽입했어요. 시간 순서 바꾸면서 살짝씩 예전에 쓴 글들을 읽어봤는데,참 글을 못 썼었네요. 부끄러워라...그러나 못쓴 나름대로 흔적이 묻어있어서그냥 뒀습니다. 그 자체로 의미를... 아무튼 이제 진짜 끝났습니다.ㅋㅋ 시간 되시면 시간 순서대로 한 번 읽어보셔요! 링크는 https://schluss.kr/category/Overseas/2017%20-%20O%27zbekiston%20%28End.%29 입니다.감사합니다 :)
제 글이 다음 메인에 올라갔어요!! :D
제 글이 다음 메인에 올라갔어요!! :D
2020.01.102020년 첫 다음 메인 등재입니다!! >_
공감버튼이 사라졌다.
공감버튼이 사라졌다.
2020.01.09새 앱이 출시된 뒤로 모바일 앱 상에서 공감을 누를 수 없다는 걸 알고 있었지만, (이건 현재도 마찬가지) 어제부턴가.. 웹브라우저 상에서 아예 공감버튼이 사라졌다. 내 블로그를 아무리 둘러봐도 공감버튼이 안보였다. 그래서 이제 티스토리가 공감제도를 아예 없애는가 했는데.. 티스토리가 아닌, 공간 스킨의 문제였던 듯하다.다른 블로그에 들어가보니 공감 버튼이 있네.공간 스킨 쓰시는 분들만 공감 버튼이 사라짐. 사이트 속도 때메 그러는건가 싶기도 한데빨리 해결되었으면...
2019년 블로그에 관한 짤막한 소회.
2019년 블로그에 관한 짤막한 소회.
2020.01.081. 첫 7달 동안 800개씩 생산(?)하던 2016년처럼은 아니더라도 꽤 성실히 포스팅했다. 2. 하지만, 2016년엔 그냥 생각나는 대로 마구 적은 반면, 2019년엔 나름대로 글 하나하나 공들인 면이 있다보니 정성평가로 따지면 비슷비슷할 듯..? 3. 검색 유입은 16년도의 50% 수준. 그땐 조회수 오류+스킨 에디터 카운트 등으로 인해 거품이 잔뜩 끼어있었다면, 19년도엔 확실히 조회수 집계 방식이 개선되면서 거품이 걷혔으니 알맹이만 남은 듯. 아마 그 때의 조회수로 완전히 돌아가지 못한 것은.. 다음 유입이 16년에 비해 1/4 수준으로 반의반토막 난 영향이 클 거라 본다. 4. 방문자의 구성(?)이 좀 바뀌었다. 16년도에 비해 티스토리 회원끼리의 왕래 빈도는 절반 이상 줄어든 반면(당장 요즘..
제 글이 다음 메인에 올라갔어요!! :D
제 글이 다음 메인에 올라갔어요!! :D
2019.12.27이번에 올라간 글은 'Rothenburg ob der Taube - 로텐부르크 거리 풍경 (Oben)'입니다.오랜만에 올린 독일 여행글인데, 메인에 등극하여 기쁩니다. 특히.. 별 일 없는 한 올해의 마지막 메인 등재가 아닐까 싶은데,정성들여 쓴 글로 마지막을 장식할 수 있게 되어 대단히 기쁩니다 :D 해당 글에 공감&댓글 많이 남겨주셔요!!이제 독일여행기 더 열심히 쓰겠습니다. :)
댓글 필터를 추가했습니다.
댓글 필터를 추가했습니다.
2019.12.17설정창에 들어가보니, 댓글 내용도 필터링할 수 있더라구요?그래서 이번 기회에 필터 좀 추가시켰습니다. 고로.... 앞으로 '잘보고 갑니다'와 '공감하고 갑니다'라는 표현은 못 쓰실겁니다.시범적으로 적어보니 아예 필터에 걸렸다며 댓글 입력이 안되더라구요. 혹시 평소에 댓글 다시면서 그런 표현 하시는 분 계시다면그 부분은 그냥 빼고 핵심 내용만 적으시면 될 거에요.(물론 그런 댓글만 다는 사람은 그냥 지나가시길 권장드리구요.) 제 공간에 매크로스러운 댓글 제발 달지 마셨으면 좋겠습니다.제 공간에서 그런 체면치레, 인사치레는 사절입니다.
여기 처음 오시는 분들은 이 글 꼭 봐주세요.
여기 처음 오시는 분들은 이 글 꼭 봐주세요.
2019.12.14그동안 공지에도 썼고, 중간중간 몇 번씩이나 공지 좀 보라고 그렇게 강조했는데볼 생각을 안하시는 분이 몇 계시더라구요.그래서 한번 더 글 씁니다. 기계적인 표현 좀 쓰지 마세요. 저런 내용 하나도 없는 복붙식 댓글 보면 힘 빠지고 뒷골 당깁니다. 공지에 쓴 대로 위 댓글들 모두 승인 거절했으며, 지속적으로 기계적인 댓글 달 시엔 유저 차단하겠습니다.그리고 '잘 보고 갑니다'와 '공감하고 갑니다'라는 문구도 차단했습니다. (그와 별개로 본인 회사나 블로그 광고 목적이 명백한 사람은 그냥 차단합니다.) 블로그로 소통하고 싶으시다면 설령 글을 꼼꼼히 읽진 못하더라도글 주제에 관련한 댓글, 혹은 정말 못해도 최소한의 영혼 1g은 좀 실으셔요. 비록 의견이 달라서 짜증이 날 지언정 위와 같은 매크로보단 차라리 낫..
티스토리 앱을 업데이트하였다.
티스토리 앱을 업데이트하였다.
2019.12.09티스토리 앱에 대한 혹자 曰 : "그건 어플도 아니에요." 그리고 이어지는 폭풍공감. 시대에 한참 뒤떨어진다는 평을 받던 티스토리 앱이 드디어 업데이트되었다. 12월 9일 오전부터 정식 배포되었다. 나 역시 공지글을 확인한 후 앱을 다운받았다. 역시 최고의 데이트는 업데이트! 아이콘도 바뀌었다. 확실히 지금 아이콘이 나음. 로그인 창. 여기에 로그인하여 들어가면.. 요렇게 메인 화면이 뜬다. 근데 공감 데이터가 안넘어갔나보네. 아래의 두 글 모두 공감 받았는데... 피드창. 내 블로그 화면. 확실히 많이 바뀌었다. 디자인을 비롯한 인터페이스는 확실히 개선되었다. 게다가 이전의 그 의미없는 글 목록을 안봐도 돼서 좋다. 하지만 아직까지 버그가 상당하다. 위에 말한 공감개수 데이터의 공유 문제 외에도 포럼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