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s/Book

<Book> 김영하 - 오래 준비해온 대답

Normal One 2020. 6. 12. 00:10
반응형

  회사에서 업무에 관련된 책의 구매를 요청받아 알라딘에 들어갔다. 구매를 끝내고 한 번 더 확인하러 알라딘 홈페이지에 들어갔는데, 이 책이 메인 페이지에 떴다. 작년에 '김영하 - 여행의 이유'를 정말 감명 깊게 읽었던 터라 한 번 읽고 싶은 욕구가 차올랐다. 결국 그날 퇴근길 지하철에서 알라딘의 요술램프를 문질렀다. 원래 문학작품은 도서관에서 빌려 읽는 편인데, 시국이 시국인지라...




  저자는 시칠리아를 약 2달여간 여행했다. 요즘 유행하는 말로 'stay'라는 말이 더 어울리는 그런 여행이었다(마치 제주도 1달 살기처럼). 주로 소도시나 작은 섬들을 구석구석 둘러보는 코스였다. 확실히 우리나라에선 알지도 못했던 곳들을 찬찬히, 하나하나 놓치지 않고 둘러본 것 같았다. 그야말로 '느린 여행'이었다. 지금까지 이런 식의 'stay'를 해본 적이 없기에 그의 여정들이 조금 더 신선했다. 이런 맛에 stay를 하는구나 싶었다.


  하지만 이 책의 참맛은 역시 책 속에 녹아있는 배경지식과 삶에 대한 이야기들이 아닐까 싶다. 아마 단순히 시칠리아 섬의 풍경만을 소개했다면 이 책이 그렇게까지 회자되지 않았을 테다. 그래서 초반부의 리파리 섬 주민들에 대한 이야기, 그리스와 깊이 연관된 시라쿠사, 메두사와 영화 '대부'가 떠오르는 타오르미나 등이 더욱 눈에 들어오더라. 여행기에 정말 잘 녹이셨구나.. 다시금 '배경지식'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이 책 덕에 시칠리아에 대한 이미지가 조금이나마 좋아졌다. 사실 시칠리아라 하면 '마피아' 때문에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었다... 당연히 궁금증도 적었고. 하지만, 동네 하나하나 읽으며 시칠리아 섬을 다시 봤고, 긍정적인 이미지가 어느 정도 형성되었다. '저긴 그냥 뭐...'에서 '나중에 짬이 되면 한 번...?' 정도로. 아마 시칠리아 섬에 다녀오신 분이라면 나보다도 훨씬 다양한 포인트에서 접점이 생기고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을까 싶다.



  이래저래 집 밖으로 멀리 나가기 힘든 시국에 글로써 조금이나마 대리만족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중간중간 첨부하신 사진들 보며 내가 찍은 사진들도 다시 한번 보게 되고... 아무쪼록 갑갑한 일상 속에서 소중한 쉼표 하나 찍을 수 있어 감사하다.